기후 뉴스

기상 현상, 기후 변화, 기후 대응 등의 소식을 전달합니다.

도시 농업이 도시 열섬을 완화한다; 작은 녹지가 만드는 큰 변화

앨지닥터(김덕원)
2025-02-10
조회수 3176

| 도시 농업의 힘: 개인 텃밭과 정원이 열섬 현상 완화에 미치는 영향

도시를 뜨겁게 하는 열섬현상을 완화하는 데 있어서 도시 농업의 역할이 새롭게 조명되고 있다. 최근 Sustainable Cities and Society 저널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의 밀집된 도시 지역에서 2헥타르(ha) 이하의 작은 개인 텃밭과 정원이 대형 공원 같은 공공 녹지보다 기후 조절에 미치는 영향이  훨씬 크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특히, 같은 면적의 녹지라도 작은 녹지가 여러 개 흩어져 있을 때 기온을 낮추는 효과가 더 크며, 최대 1.1°C의 기온 감소 효과를 확인했다.


| 도시 농업과 공공 녹지의 차이점

기존 연구에서는 주로 도시 공원 같은 큰 규모의 공공 녹지에만 초점을 맞췄지만, 이번 연구는 면적 2ha 이하의 '소규모 녹지'가 기후 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특히 리우데자네이루 교외 지역에서는 개인 텃밭 밑 정원이 전체 녹지의 약 40%를 차지하며, 공공 녹지보다 두 배 이상 넓은 면적을 제공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 녹지의 면적보다 '경계 밀도'와 '식물의 피복 비율'이 도시 열섬 완화의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녹지의 경계 밀도와 피복 비율에 따라 0.3 ~ 1.1°C 등 기온을 낮추는 효과는 크게 변화할 수 있다. 즉, 같은 면적의 녹지가 있더라도 하나의 대형 공원보다 여러 개의 작은 정원 혹은 텃밭이 흩어져 있을 때 기온을 낮추는 효과가 더 크다.


| 경계 밀도

경계 밀도란 '녹지와 비녹지 공간(도로, 건물)이 만나는 경계선의 길이'를 의미한다. 면적이 같은 두 녹지를 비교했을 때 하나의 큰 녹지보다 여러 개의 작은 녹지가 분산된 경우 경계선이 길어지게 된다. 이 경계 부분에서는 인접한 도심 공간으로 기온 감소 효과가 확산되기 때문에, 경계 밀도가 높을수록 도시 열섬 현상 완화에 기여하는 범위도 넓어진다. 리우데자네이루에서 평균적으로 개인 녹지의 경계 밀도가 276.38 m/ha, 공공 녹지는 148.58 m/ha 등으로 약 1.9배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피복 비율

피복 비율이 높은 녹지는 '같은 면적 내 더 많은 나무와 식물들이 존재'하며, 그늘을 제공하거나 증산 작용을 통해 주변 공기의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 특히 식물의 잎과 뿌리를 통해 수분이 증발하면서 주변 열을 흡수하는 증산 작용은 자연적인 냉각 시스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녹지의 전체 면적이 크더라도 피복 비율이 낮아 식물이 부족한 경우에는 도시 열섬 완화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반면, 면적이 다소 작더라도 나무와 식물이 밀집된 녹지는 효과적으로 도시 기온을 낮출 수 있다. 


| 결론

이 연구는 단순한 도시 내 녹지 확대를 넘어서 녹지의 공간적 배치가 도시 열섬 완화에 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밝혔다. 이에 따라 도시 전체의 기온을 낮추기 위해서는 큰 녹지를 조성하는 것보다 작은 녹지를 여러 곳에 배치하여 경계 면적을 극대화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이러한 결과는 도시 설계와 기후 적응 전략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기존의 공공 공원이나 가로수 같은 대규모 녹지뿐만 아니라 주택가의 개인 정원, 건물 옥상의 텃밭 등 도시 농업을 활용한 기후 조절 전략이 필요하다.


| 참고문헌

Silveira, C., Dias, A. T. C., Amaral, F. G., de Gois, G., & Pistón, N. (2024). The importance of private gardens and their spatial composition and configuration to urban heat island mitigation. Sustainable Cities and Society, 105589.





7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