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 자료집

"환경을 더 깊이 이해하고,

실천의 근거를 함께 쌓아갑니다. "

BioScience - The 2024 state of the climate report: Perilous times on planet Earth (2024년 기후 현황 보고서: 지구의 위태로운 시대)

김원지
2025-02-05
조회수 290

2024년 12월 BioScience에 게재된 "The 2024 state of the climate report: Perilous times on planet Earth" (2024년 기후 현황 보고서: 지구의 위태로운 시대)는 현재 기후 변화의 추세와 그 영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보고서를 공유드립니다. 

William J. Ripple 박사와 연구진이 작성한 이 보고서는 지구 환경의  최신 주요 지표를 폭넓게 검토하며, 기후 위기가 심화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핵심 데이터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또한, 2024년도에 발생한 주요 기후 재난을 분석하며, 극단적인 기상 현상의 빈도와 강도가 증가하고 있음을 설명합니다.

       주요 기후 재난 (2023년 11월 – 2024년 8월)

  • 폭풍 & 허리케인:

    • 폭풍 베티나 (2023년 11월) – 흑해 지역 폭설·폭우, 23명 사망.
    • 허리케인 베릴 (2024년 7월) – 카테고리 5, 64명 사망, 피해액 50억 달러.
    • 허리케인 데비 (2024년 8월) – 미국 남동부 홍수, 10명 사망.
    • 사이클론 레말 (2024년 5월) – 인도·방글라데시, 84명 사망.
  • 폭염:

    • 북아프리카·사헬 (2024년 3~4월) – 극심한 폭염, 수백~수천 명 사망.
    • 아시아 (2024년 4~5월) – 미얀마: 1,500명 사망, 인도: 50°C, 60명 사망.
    • 멕시코 (2024년 5~6월) – 125명 폭염 사망.
    • 사우디아라비아 (2024년 6월) – 1,170명 폭염 사망.
    • 지중해 (2024년 7월) – 폭염으로 23명 사망.
  • 산불:

    • 칠레 (2024년 2월) – 131명 사망, 14,000채 가옥 소실.
    • 브라질 (2024년 6월) – 44만 헥타르 소실.
  • 홍수 & 폭우:

    • 페르시아만 (2024년 4월) – 홍수로 33명 사망.
    • 동아프리카 (2024년 3~5월) – 심각한 홍수, 수백 명 사망.
    • 브라질 남부 (2024년 4~5월) – 173명 사망, 42만 3천 명 이재민, 피해액 37억 달러.
    • 방글라데시 (2024년 6월) – 산사태·홍수, 9명 사망, 200만 명 피해.
  • 기타 이상 기후:

    • 미국 텍사스 (2024년 5월) – 강풍으로 5명 사망, 60만 명 정전.


(출처: The 2024 state of the climate report: Perilous times on planet Earth)


이와 함께, 중요한 기후 관련 주제들을 심층적으로 다루며, 우리가 직면한 환경 문제의 긴급성을 알리고 있습니다. 


기후 재난은 더 이상 먼 미래의 이야기가 아닙니다. 위의 2023-2024 주요 재난 사례에서 보듯이, 지금 이 순간에도 전 세계에서 수많은 생명이 위험에 처해 있습니다. 다양한 데이터와 함께 기후 변화의 심각성을 강조하는 이 보고서를 읽어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출처:

BioScience - The 2024 state of the climate report: Perilous times on planet Earth

https://academic.oup.com/bioscience/article/74/12/812/7808595

Ripple, W. J., Wolf, C., Newsome, T. M., Gregg, J. S., Levigne, C. R., Barnard, P., ... & Betts, R. A. (2023). The 2023 state of the climate report: Entering uncharted territory. BioScience, 74(12), 812-825. https://doi.org/10.1093/biosci/biad123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