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환경연구원(KEI)은 2012년부터 매년 국민환경의식조사를 실시하여 국민의 환경 인식, 실천 태도, 정책 수요 등을 파악하고 있습니다.
2023년 조사에서는 총 3,088명이 참여했으며, 웹조사 방식으로 진행되었습니다.

2023 국민환경의식조사 /자료제공=한국환경연구원
🔹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도 변화
- 환경문제에 ‘관심이 있다’는 응답이 69.0%로, 지난해(74.2%)보다 감소
- 2017년(54.4%) 이후 지속적으로 70%대를 유지하다가 2023년에 다시 하락
🔹 관심도 차이 요인
- 연령: 20·40대보다 50·60대가 높은 관심을 보임
- 소득 수준: 고소득층이 저소득층보다 높은 관심
- 결혼 여부: 기혼자가 미혼자보다 관심이 높음
- 정치 성향: 진보 성향이 보수 성향보다 관심이 높음
- 성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음
🔹 환경문제 인지 수준
- 환경문제의 원인을 ‘안다’는 응답: 52.5%
- 해결 방법을 ‘안다’는 응답: 40.2%
- 최근 3년간 원인 및 해결 방법에 대한 인식도가 소폭 감소하는 추세


2023 국민환경의식조사 /자료제공=한국환경연구원
우리 사회는 환경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을까요? 2023 국민환경의식조사 결과를 통해 변화하는 인식과 정책 수요를 확인해보세요!
*현재 2024년도 국민환경의식조사 보고서는 아직 공개되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여러 환경 데이터 서비스 포털을 확인한 결과, 가장 최근에 공개된 자료는 2023년도 조사 보고서입니다.
출처:
염정윤, 강선아(2023), 「2023 국민환경의식조사」, 한국환경연구원.
한국환경연구원(KEI)은 2012년부터 매년 국민환경의식조사를 실시하여 국민의 환경 인식, 실천 태도, 정책 수요 등을 파악하고 있습니다.
2023년 조사에서는 총 3,088명이 참여했으며, 웹조사 방식으로 진행되었습니다.
2023 국민환경의식조사 /자료제공=한국환경연구원
🔹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도 변화
🔹 관심도 차이 요인
🔹 환경문제 인지 수준
2023 국민환경의식조사 /자료제공=한국환경연구원
우리 사회는 환경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을까요? 2023 국민환경의식조사 결과를 통해 변화하는 인식과 정책 수요를 확인해보세요!
*현재 2024년도 국민환경의식조사 보고서는 아직 공개되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여러 환경 데이터 서비스 포털을 확인한 결과, 가장 최근에 공개된 자료는 2023년도 조사 보고서입니다.
출처:
염정윤, 강선아(2023), 「2023 국민환경의식조사」, 한국환경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