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르게 확산하는 산불 - 통제 불가능한 산불의 위험성 증가’는 UNEP과 GRID-Arendal 센터가 전 세계 산불 위기의 규모와 범위를 조사한 최초의 보고서이며 UN 생태계복원 10개년 계획 (UN Decade of Ecosystem Restoration)을 수립하기 위해 의뢰되었습니다.
기후변화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산불이 더 강력해지고, 발생 범위도 넓어지고 있습니다. 호주, 캐나다, 미국, 중국, 유럽, 아마존 등지에서 발생하는 산불은 환경, 인간 건강, 생물다양성, 사회기반시설에 큰 피해를 주고 있으며, 이는 기후변화·토지이용 변화·부실한 산림관리 등 인간의 영향으로 더욱 심화되고 있습니다.
산불은 생태학적 목적을 달성을 하는데 도움을 주는 역할도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예측 불가하고 파괴적인 산불은 철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특히 최근에는 이탄지, 영구동토 등 예상하지 못한 지역에서도 발생하고 있으며, 인명 피해와 생물종의 멸종 위험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 대부분의 국가에서 예방과 대응을 위한 예산과 정책이 부족한 실정입니다. 보고서에서는 산불 피해는 진화 이후에도 장기적으로 지속되며, 이에 대비하기 위한 사전적 대응 조치와 정책 전환이 시급하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유엔환경계획(2022). Wildfire Spreading like Wildfire – The Rising Threat of Extraordinary Landscape Fires. (빠르게 확산하는 산불 - 통제 불가능한 산불의 위험성 증가)
UNEP 신속 대응 평가. 나이로비.
보고서에서 명시하는 기후변화 시대의 산불 위험 대응 및 피해 저감을 위한 주요 권고사항:
- 기후변화가 산불에 미치는 영향 분석 및 대응
- 산불 행동 이해 및 연료 관리·모니터링 개선
- 통합적 산불관리 체계 구축
- 전통적 및 현대적 산불 관리 지식의 정책 통합
- 국제 및 지역 차원의 협력 강화
- 사후 대응 중심에서 사전 예방 중심으로 정책 전환
- 지역사회와 지방정부에 권한 위임
- 산불 진화대원의 안전 보장
- 성별 관점에서의 산불 데이터 수집 체계 개선
산불로 인한 피해를 저감하고 효과적으로 대응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지금 우리가 준비해야 할 방향은 무엇일까요?
보고서를 통해 산불 대응에 대한 국제적 권고사항과 향후 과제를 함께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출처:
유엔환경계획(2022). Wildfire Spreading like Wildfire – The Rising Threat of Extraordinary Landscape Fires. (빠르게 확산하는 산불 - 통제 불가능한 산불의 위험성 증가) UNEP 신속 대응 평가. 나이로비.
파일 용량 문제로 직접 업로드는 어려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보고서를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한국 번역본: https://nsp.nanet.go.kr/plan/subject/detail.do?nationalPlanControlNo=PLAN0000038500
영문 원본: https://www.unep.org/resources/report/spreading-wildfire-rising-threat-extraordinary-landscape-fires
‘빠르게 확산하는 산불 - 통제 불가능한 산불의 위험성 증가’는 UNEP과 GRID-Arendal 센터가 전 세계 산불 위기의 규모와 범위를 조사한 최초의 보고서이며 UN 생태계복원 10개년 계획 (UN Decade of Ecosystem Restoration)을 수립하기 위해 의뢰되었습니다.
기후변화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산불이 더 강력해지고, 발생 범위도 넓어지고 있습니다. 호주, 캐나다, 미국, 중국, 유럽, 아마존 등지에서 발생하는 산불은 환경, 인간 건강, 생물다양성, 사회기반시설에 큰 피해를 주고 있으며, 이는 기후변화·토지이용 변화·부실한 산림관리 등 인간의 영향으로 더욱 심화되고 있습니다.
산불은 생태학적 목적을 달성을 하는데 도움을 주는 역할도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예측 불가하고 파괴적인 산불은 철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특히 최근에는 이탄지, 영구동토 등 예상하지 못한 지역에서도 발생하고 있으며, 인명 피해와 생물종의 멸종 위험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 대부분의 국가에서 예방과 대응을 위한 예산과 정책이 부족한 실정입니다. 보고서에서는 산불 피해는 진화 이후에도 장기적으로 지속되며, 이에 대비하기 위한 사전적 대응 조치와 정책 전환이 시급하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UNEP 신속 대응 평가. 나이로비.
보고서에서 명시하는 기후변화 시대의 산불 위험 대응 및 피해 저감을 위한 주요 권고사항:
산불로 인한 피해를 저감하고 효과적으로 대응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지금 우리가 준비해야 할 방향은 무엇일까요?
보고서를 통해 산불 대응에 대한 국제적 권고사항과 향후 과제를 함께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출처:
유엔환경계획(2022). Wildfire Spreading like Wildfire – The Rising Threat of Extraordinary Landscape Fires. (빠르게 확산하는 산불 - 통제 불가능한 산불의 위험성 증가) UNEP 신속 대응 평가. 나이로비.
파일 용량 문제로 직접 업로드는 어려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보고서를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한국 번역본: https://nsp.nanet.go.kr/plan/subject/detail.do?nationalPlanControlNo=PLAN0000038500
영문 원본: https://www.unep.org/resources/report/spreading-wildfire-rising-threat-extraordinary-landscape-fi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