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년 조류(녹조) 발생과 대응 연차보고서 요약
🔍 1. 녹조란?
조류(藻類)는 수생태계의 기초 생산자로, 빛・수온・영양염류에 영향을 받아 성장
녹조현상은 여름~가을에 남조류가 대량 번식하여 물빛이 녹색으로 변하는 현상
남조류 일부는 냄새물질(Geosmin, 2-MIB) 및 독소(간독소, 신경독소)를 배출해 수질과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음
💧 2. 정수 안전성
정수처리 과정(활성탄, 오존처리 등)을 통해 독소 제거 가능
냄새물질은 인체에 무해하며, 원수취수 방식과 고도정수처리로 충분히 대응 가능
🛎️ 3. 조류경보제 운영
운영 목적: 수돗물 안전 확보 및 국민 건강 보호
운영 지점: 전국 29개소 (호소 22, 하천 6, 친수구역 1)
단계 기준:
📊 4. 2023년 조류발생 주요 특징
총 530건의 경보 발령, 이 중 471건이 ‘관심’, 59건이 ‘경계’ 단계
팔당호, 대청호, 낙동강 상류 및 보 구간 등에서 주기적 경보 발령
여름철 기온 상승, 강수량 부족, 체류시간 증가 등으로 조류 발생 영향
🛠️ 5. 대응 정책 및 조치
경보 단계별 정수처리 강화, 조류 제거 작업, 오염원 차단막 설치 등 실행
댐・보의 방류량 조정, 취수구 이동, 조류제거선 운영 등 입체적 대응
드론 감시, 하천순찰, 가축분뇨 점검 등 오염물질 차단 강화
출처:
2023년 조류(녹조)발생과 대응 연차보고서 - 한국수자원공사
https://www.water.or.kr/kor/board/index.do?bid=BD_00022&mode=view&menuId=15_153_157&wid=116416
✅ 2023년 조류(녹조) 발생과 대응 연차보고서 요약
🔍 1. 녹조란?
조류(藻類)는 수생태계의 기초 생산자로, 빛・수온・영양염류에 영향을 받아 성장
녹조현상은 여름~가을에 남조류가 대량 번식하여 물빛이 녹색으로 변하는 현상
남조류 일부는 냄새물질(Geosmin, 2-MIB) 및 독소(간독소, 신경독소)를 배출해 수질과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음
💧 2. 정수 안전성
정수처리 과정(활성탄, 오존처리 등)을 통해 독소 제거 가능
냄새물질은 인체에 무해하며, 원수취수 방식과 고도정수처리로 충분히 대응 가능
🛎️ 3. 조류경보제 운영
운영 목적: 수돗물 안전 확보 및 국민 건강 보호
운영 지점: 전국 29개소 (호소 22, 하천 6, 친수구역 1)
단계 기준:
관심: 1,000~10,000 세포/mL
경계: 10,000~1,000,000 세포/mL
대발생: 1,000,000세포/mL 이상
해제: 1,000세포/mL 미만
📊 4. 2023년 조류발생 주요 특징
총 530건의 경보 발령, 이 중 471건이 ‘관심’, 59건이 ‘경계’ 단계
팔당호, 대청호, 낙동강 상류 및 보 구간 등에서 주기적 경보 발령
여름철 기온 상승, 강수량 부족, 체류시간 증가 등으로 조류 발생 영향
🛠️ 5. 대응 정책 및 조치
경보 단계별 정수처리 강화, 조류 제거 작업, 오염원 차단막 설치 등 실행
댐・보의 방류량 조정, 취수구 이동, 조류제거선 운영 등 입체적 대응
드론 감시, 하천순찰, 가축분뇨 점검 등 오염물질 차단 강화
출처:
2023년 조류(녹조)발생과 대응 연차보고서 - 한국수자원공사
https://www.water.or.kr/kor/board/index.do?bid=BD_00022&mode=view&menuId=15_153_157&wid=116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