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 플라스틱은 화학적 특성이 안정하여 대기, 수질, 토양, 식품 등 광범위하게 존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미세플라스틱은 인간이 일상 생활에서 섭취하거나 흡입할 수 있으며, 체내에 축적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인간의 혈액, 태반, 심장, 폐, 결장, 고환에서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된 사례가 존재합니다.
Liu의 연구는 지금까지 분석 사례가 부족한 인간의 대동맥, 경동맥 및 관상동맥 등에 미세플라스틱이 존재하는지 분석했습니다[1].
<인간의 동맥에서 발견된 미세플라스틱 농도>
우선, 대동맥 6개, 경동맥 7개, 관상동맥 4개 등 17개의 샘플을 분석했습니다.
샘플은 수술 환자의 동의를 받아 병원의 심장외과와 혈관외과에서 수집하였습니다.
놀랍게도 17개의 샘플에서 미세플라스틱은 모두 검출되었으며, 평균 농도는 118.7 ug/g이었습니다.
다른 연구에서 인간 혈액(1.6 ug/mL)에서도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되었으며,
혈액보다 동맥에서 훨씬 높은 값이 검출된 것은 혈액을 운반하는 관 역할을 하는 동맥에 미세플라스틱이 지속적으로 침전된다는 의미입니다.
대동맥의 경우, 경동맥 및 관상동맥에 비하여 미세플라스틱의 농도가 낮았습니다.
그 이유는 대동맥이 다른 동맥에 비하여 직경이 넓으며, 혈액의 순환 속도가 빠르기 때문으로 추측됩니다.
또한, 대동맥 샘플에서는 죽상경화증이 없었지만 경동맥, 관상동맥 샘플에서는 죽상경화증 샘플이 포함되어 있었다고 합니다.
<미세플라스틱에 의한 죽상경화증 원리>
이것은 미세 플라스틱이 대동맥보다 경동맥 및 관상동맥의 죽상경화증에 더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죽상경화증이란 수도관이 오래되면 이물질이 끼듯이 몸속의 혈관도 비슷한 이유로 혈관의 직경이 좁아지는 질병입니다.
따라서, 미세 플라스틱이 동맥에 축적되어 혈관의 흐름을 방해하여 심장 질환이나 뇌졸증 같은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추가로 미세플라스틱이 인체에 축적되는 것이 확인되고 있는만큼,
미세플라스틱이 인간의 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더 필요합니다.
생활의 큰 편리함을 가져다주던 플라스틱이 이제는 우리의 건강을 위협하여 불편함을 주고 있습니다.
환경뿐만 아니라 결국에는 나 자신을 위해 플라스틱의 사용을 줄이고 다회용기를 사용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출처
[1] Liu, S., Wang, C., Yang, Y., Du, Z., Li, L., Zhang, M., ... & Zhang, M. (2024). Microplastics in three types of human arteries detected by pyrolysis-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Py-GC/MS).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133855.

미세 플라스틱은 화학적 특성이 안정하여 대기, 수질, 토양, 식품 등 광범위하게 존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미세플라스틱은 인간이 일상 생활에서 섭취하거나 흡입할 수 있으며, 체내에 축적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인간의 혈액, 태반, 심장, 폐, 결장, 고환에서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된 사례가 존재합니다.
Liu의 연구는 지금까지 분석 사례가 부족한 인간의 대동맥, 경동맥 및 관상동맥 등에 미세플라스틱이 존재하는지 분석했습니다[1].
우선, 대동맥 6개, 경동맥 7개, 관상동맥 4개 등 17개의 샘플을 분석했습니다.
샘플은 수술 환자의 동의를 받아 병원의 심장외과와 혈관외과에서 수집하였습니다.
놀랍게도 17개의 샘플에서 미세플라스틱은 모두 검출되었으며, 평균 농도는 118.7 ug/g이었습니다.
다른 연구에서 인간 혈액(1.6 ug/mL)에서도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되었으며,
혈액보다 동맥에서 훨씬 높은 값이 검출된 것은 혈액을 운반하는 관 역할을 하는 동맥에 미세플라스틱이 지속적으로 침전된다는 의미입니다.
대동맥의 경우, 경동맥 및 관상동맥에 비하여 미세플라스틱의 농도가 낮았습니다.
그 이유는 대동맥이 다른 동맥에 비하여 직경이 넓으며, 혈액의 순환 속도가 빠르기 때문으로 추측됩니다.
또한, 대동맥 샘플에서는 죽상경화증이 없었지만 경동맥, 관상동맥 샘플에서는 죽상경화증 샘플이 포함되어 있었다고 합니다.
이것은 미세 플라스틱이 대동맥보다 경동맥 및 관상동맥의 죽상경화증에 더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죽상경화증이란 수도관이 오래되면 이물질이 끼듯이 몸속의 혈관도 비슷한 이유로 혈관의 직경이 좁아지는 질병입니다.
따라서, 미세 플라스틱이 동맥에 축적되어 혈관의 흐름을 방해하여 심장 질환이나 뇌졸증 같은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추가로 미세플라스틱이 인체에 축적되는 것이 확인되고 있는만큼,
미세플라스틱이 인간의 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더 필요합니다.
생활의 큰 편리함을 가져다주던 플라스틱이 이제는 우리의 건강을 위협하여 불편함을 주고 있습니다.
환경뿐만 아니라 결국에는 나 자신을 위해 플라스틱의 사용을 줄이고 다회용기를 사용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출처
[1] Liu, S., Wang, C., Yang, Y., Du, Z., Li, L., Zhang, M., ... & Zhang, M. (2024). Microplastics in three types of human arteries detected by pyrolysis-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Py-GC/MS).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133855.